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고양이전설
- 고양이행동
- 고양이감기
- 고양이여행
- 오블완
- 고양이질병종류
- 고양이식욕부진
- 고양이상식
- 고양이발톱관리
- 고양이요로
- 고양이신화
- 노령고양이
- 고양이구토
- 시니어캣
- 티스토리챌린지
- 고양이영양소
- 고양이스트레스
- 고양이성격
- 고양이나이
- 고령고양이
- 고양이역사
- 고양이눈물
- 고양이수돗물
- 고양이결석
- 고양이질병
- 고양이건강신호
- 고양이방광
- 고양이안구질환
- 고양이털갈이
- 고양이위험식물
목록고양이집사/심리와 행동 (4)
다락방 고양이

고양이의 행동은 사랑스러우면서도 종종 미스터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갑자기 뛰어오르거나, 특정 장소를 좋아하거나,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보며 "왜 저럴까?"라는 생각을 하신 적이 있나요? 이번 글에서는 고양이의 흔한 행동에 숨겨진 과학적 이유를 탐구하며, 반려인과 고양이의 더 깊은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1. 고양이가 꼬리로 말하는 법고양이의 꼬리는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꼬리의 움직임과 자세를 관찰하면 고양이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꼬리를 높이 세움: 자신감과 행복을 나타냅니다. 반려인과 상호작용을 기대하는 긍정적인 상태일 가능성이 큽니다.꼬리가 팽팽하게 부풀음: 공포나 위협을 느낄 때 방어적 자세를 취하는 것입니다.꼬리를 흔듦: 짜증이나 불편함을 표현합..
꼬리의 역할 고양이는 꼬리를 이용해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도 한다. 높은 곳으로 또는 높은 곳에서 뛰어 내릴때, 달릴때등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꼬리를 이용한다. 또한 고양이는 꼬리로 자신의 감정이나 의사를 표현한다. 그림① 친근함, 만족스러움. -> "아~ 잘잤다.. 엄마 밥줘~^^"② 신뢰할 수 없음, 위협적이지 않음. -> "저게...뭐지?"③ 조롱하고 있음. 빈정거림 -> "메~롱"④ 꼬리를 바르르 떨다, 당신을 보고 기뻐한다? -> "잇~힝~!"⑤ 갈고리 처럼 말다, 친근함, 그러나 의심스러움 -> "엄마 캣피싱 놀아줘~잉~"⑥ 공격적이지 않음, 두려움이 있음. 우호적임. -> "엄마...나 똥묻혔어.... 화장실 밖에다가...(눈치)"⑦ 공격에 대해 방어하고 있는 상태. -> "건들기만 해봐..
1. 안정감과 스트레스 해소 고양이는 사방이 막혀 있는 곳에서 자신의 몸을 숨긴 상태에서 안정감을 느낀다고 한다. 좁고 어두운 공간으로 부터 적에게 노출을 피하는 야생 본능 때문인데, 이때 상자나 좁은 공간에 들어 가 있는 동안 이 안정감 때문에 고양이의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한다. 2. 사냥과 생존본능 고양이에게 쥐돌이를 주거나 캣피싱으로 놀아보신분들은 공감하실 듯 하다. 고양이는 먹이감의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숨어 있다가 갑자기 뛰어 제압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자신보다 몸집이 큰 외부의 적으로 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이때의 은신처는 몸을 잠시 숨기는 기능을 해준다. 3. 야행성동물 고양이는 야행성동물이다. 즉, 낮에는 주로 잠을 자고 밤에 활동하는 동물. 고양이가 어두운 공간에 들어가는 이유는 자신의..
1.환경적응만약, 고양이가 처음 집에 왔다면, 환경에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충분히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 2.눈인사 하기고양이의 눈을 바라보다가 1초 정도 깜빡 거려 준다. (난 너를 헤치지 않아)답신이 없을 경우 다시 한번 깜빡 거려준다. 이때 너무 빨리 깜빡 거리지 않고 눈을 깜고 1초 뒤 눈을뜬다.경계가 풀린 고양이는 답변을 보내온다. (깜빡) 3.쓰다듬어 주기고양이가 불안을 느끼고 있을 때는 손을 숨긴다.충분히 환경에 적응하고, 경계가 풀린 상태라면, 고양이의 턱 밑, 목, 이마, 머리, 등을 살살 긁어주듯 쓰다듬어 준다.되도록이면 엉덩이, 꼬리 쪽은 예민한 부분이니 만지지 않도록 한다.고양이가 배를 보이며 누웠을때는 신뢰감이 아주 높아졌다는 증거이다.그럴땐, 너무 자극적이지 않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