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고양이행동
- 고양이안구질환
- 고양이질병종류
- 고양이수돗물
- 고양이요로
- 고양이방광
- 고양이상식
- 고양이질병
- 고양이감기
- 티스토리챌린지
- 고양이나이
- 고양이구토
- 고양이성격
- 고양이식욕부진
- 고양이털갈이
- 고양이결석
- 고양이신화
- 고양이전설
- 고양이영양소
- 고령고양이
- 고양이역사
- 고양이여행
- 노령고양이
- 고양이발톱관리
- 시니어캣
- 고양이건강신호
- 고양이눈물
- 고양이스트레스
- 고양이위험식물
- 오블완
다락방 고양이
1. 사람이 먹는 음식고양이의 경우 조미료가 있는 음식은 염분 성분으로 인해 위장병을 만드는 원인이 된다. 특히, 양념이 된 음식은 고양이에게 주면 좋지 않다.견과류 : 마그네슘 함량이 높기 때문에 결석, 비만, 당뇨, 신장병등 여러 질병을 유발한다.계란 : 계란흰자에 함유된 성분에서 고양이의 소화흡수를 방해하여 식욕을 저하 시키고, 날달걀은 비타민B 흡수를 방해하여 탈모를 유발한다.과자 : 과다 섭취시 비만, 당뇨.마늘,양파,파 : 고양이가 먹게되면 혈액에 독성이 생겨서 적혈구가 파괴되어 혈뇨를 유발한다. 심하면 빈혈로 사망에 까지 이를 수 있다.술 : 소량만 먹어도 발작, 구토, 호흡부전, 혼수상태.오징어 : 양념이 되지 않았어도 염분 많고, 체내에서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급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
1.칼리시 바이러스 , 허피스바이러스, 클라미디아발열, 식욕부진, 침울, 눈물, 콧물, 기침 등의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있고, 혀에 궤양이 생기거나 폐렴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고양이 감기라고 불리는 이 질병들은 결막염, 구내염, 기관지염을 일으킨다. 2.범백혈구 감소증고열, 침울, 식욕부진,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복통으로 웅크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전염성이 매우 강한 장염으로, 진행이 빠르면 4~5일 만에 죽기도 하는 무서운 병이다.사람의 옷이나 손, 신발등을 통해서도 옮겨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소독이 필요하다. 3.백혈병무증상이 가장 많으며, 체중감소, 발열, 설사, 결막염, 구내염 등의 증상이 있고, 시력장애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면역력이 떨어져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며, 2차 ..
시기 종류 1차시기 생후 8주에 종합백신 FVRCP 1차 2차시기 생후 11주에 종합백신 FVRCP 1차 3차시기 생후 14주에 종합백신 FVRCP 1차 생후 17주~18주 전염성복막염 예방백신 FIP 1차 생후 21주 전염성복막염 예방백신 FIP 2차 + 광견병 예방백신 고양이 예방접종은 범백혈구 감소증, 허피스 바이러스 , 칼리시 바이러스, 크라미디아증과 같은 질병에 대한 항체 형성을 위한 것이다. 생후 8주가 안된 경우와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시기가 되었다 하더라도 예방접종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예방접종 시기는 고양이의 건강상태, 첫 접종시기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예방접종을 모두 마친 이후에는 매년 1회 추가접종을 하면 된다. 매년 추가접종을 하는 예방백신으로는 전염성복막염..
고양이 얼굴에 끊임없는 눈물 자국이 생긴다면 결막염, 각막염, 백내장, 허피스 바이러스 질환등 안구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바이러스의 경우 각막염, 각막궤양, 안구건조증, 포도막염 등과 같은 안과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대로 둘 경우 고양이의 시력을 잃을 수도 있다. 단지, 눈물양이 많아졌다고 병원의 처방 없이 안약을 투여하면 안된다.다양한 안구질환 증상이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하다.
눈 고양이가 눈물을 흘리고 눈꼽양이 많아졌을 경우 고양이들과의 싸움은 없었는지,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았는지 살펴본다. 상처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필요이상으로 눈꼽이나 눈물이 계속 발생하는 경우, 바이러스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동물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다. 귀 귀를 접는다던지, 한쪽으로 머리를 치우쳐 발로 긁거나, 귀를 자주 털어대는지 살펴본다. 고양이 귀에 진드기가 있거나 냄새가 나는 경우, 또는 검정색 귀지가 잔뜻 나오는 경우 귀세정제 보다는 동물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코 기본적으로 고양이의 코는 약간의 광택과 촉촉함이 느껴진다. 콧물이 흐르지 않는지, 콧물에서 끈적이는 액체가 나오거나 코가 건조할 경우 건강상태를 의심할 수 있다. 단, 고양이가 잘 때 건조한건 정상..